2025-06-05 12:39 (목)
중소·중견기업 1천여개 ESG 경영 실사... 환경(E) 부문 가장 취약
중소·중견기업 1천여개 ESG 경영 실사... 환경(E) 부문 가장 취약
  • 함승창 기자
  • 승인 2024.04.09 17:02
  • 댓글 0
이 기사를 공유합니다

- 상의, 1,278개사 ESG 실사데이터 분석... 10점 만점에 3.55점
- 사회(S)5.11, 환경(E)2.45, 지배구조(G)2.70...E, G 부문 여전히 바닥권
- 중소기업 · 비수도권으로 갈수록 ESG경영 전담인력·비용 등 대응역량 격차 커져
- ESG 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 수출 기업경쟁력 높이는데 정부·기업 힘 모아야

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공급망에 속한 중소·중견기업 1,278개사의 ’22~’23ESG 실사데이터 분석 결과, ESG 경영수준을 점수화 했을 때 환경(E) 2.45, 사회(S) 5.11, 지배구조(G) 2.70점을 기록했고, 종합평점은 3.55점으로 나타났다.

국내 중소·중견기업들은 ESG 경영을 실천할 때 환경(E) 부문에서 어려움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.

환경(E) 부문은 복잡한 환경규제를 제때 파악하기 어렵고, 환경친화적인 시설 및 설비 투자에 많은 비용이 들어 중소기업이 감당할 여력이 없다는 점, 인력난을 겪는 중소기업들이 환경 전문인력을 쉽게 구할 수 없다는 점 등이 주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.

<그림1> ‘22-’23년도 중소·중견기업 ESG 점수 분포 (10점 만점 기준)

자료. Click ESG 플랫폼

 

상의 공급망ESG지원센터에서는 ESG 경영 확산을 위해 중소·중견기업들의 ESG 경영 수준을 온라인 자가진단 및 제3자 현장실사 방식으로 검증하여 고위험(0~2.99), 중위험(3~6.99), 저위험(7~10) 3개 구간으로 구분·관리하고 있다.

이 구분에 따르면 국내 중소·중견기업들의 ESG 경영 종합평점은 고위험 구간을 탈피했으나, 환경(E) 부문과 지배구조(G) 부문은 고위험 수준에 머물러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분석이다.

환경(E) 중 취약한 항목... 재생에너지 사용량 측정> 생물다양성 보존 노력> 친환경 제품 順이다.

환경(E) 부문 중 평점이 가장 낮은 항목은재생에너지 사용량 측정으로 재생에너지 수급이 아직 충분치 못한데다 온실가스 측정 등 대기오염물질 감축에 관한 준비가 미흡한 중소·중견기업들의 어려운 여건을 여실히 보여주었다.

생물다양성 보전 노력도 매우 미흡한 항목 중 하나로 나타났는데, 생물다양성 보전에 관한 구체적 정보가 부족하고 생태계 온전성의 장기적 가치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이 그 원인으로 분석됐다.

이외에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 관리’, ‘재활용 원부자재 사용량 측정’, ‘제품 함유물질 모니터링순으로 취약한 항목들이 파악되었는데 친환경기술 경영에 따른 자금·시설투자 부담 등이 그 원인으로 꼽혔다.

<그림2> 공급망 내 중소·중견기업 환경(E) 부문 취약지표 5항목

취약지표 5 항목

평균점수

재생에너지 사용량 측정

0.32

생물 다양성 보전 노력

0.33

친환경 재품 및 서비스 관리

0.55

재활용 원부자재 사용량 측정

0.61

제품 함유물질 모니터링

0.65

자료: Click ESG 플랫폼

 

사회(S) 부문은 고용·근로환경, 보건안전, 개인정보보호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지표를, 지배구조(G) 부문은 ESG 공시, 윤리경영정책 수립 등 투명경영 및 내부통제·관리에 관한 사항이 주요 측정 대상이다.

중소기업 · 비수도권으로 갈수록 ESG경영 전담인력·비용 등 대응역량 격차 커져.. .

중소·중견 협력사들은 만성적 인력 부족 및 비용 부담으로 ESG 경영 전담조직을 갖추지 못하고 있고 체계적 ESG 실천전략을 수립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게 ESG 현장실사요원들의 공통된 의견이었다.

실제로 경기도 성남에서 통신장비 솔루션을 생산하여 EU로 수출하고 있는 한 제조업체 대표는“EU에서 공급망실사보고서 작성 및 탄소국경세 등 ESG 규제가 가속화되고 있으나, 가용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에서는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법규준수 및 점검을 위한 컴플라이언스 시스템으로 반영해 낼 수 있는 여력이 없다고 호소했다.

지역별로도 수도권(3.67)이 비수도권(3.27)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, 수도권은 IT·SW개발 등 비제조업 비중이 높은 반면, 비수도권은 자동차부품, 산업용기계, 화학제품 등 탄소·환경규제에 많이 노출된 제조업종이 다수 분포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.

기업규모별로는 상장사(4.84), 외감법인(3.96), 비외감법인(2.85) 순을 보여 기업규모가 클수록 ESG 경영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, 상장법인의 경우 기업의 성장성 등 상장심사 종합평가에 대비하여 ESG 경영에 선제적으로 나서는 것으로 해석된다.

대한상의 공급망ESG지원센터는 지난해 전국 26개 권역별 공급망ESG지원센터를 설립했고, 1천여 중소·중견기업을 대상으로 ESG 경영 진단 및 코칭, 컨설팅, 기업 찾아가는 ESG 교육 등 국내기업의 ESG 경영 확산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.

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"EU 환경규제, 공시의무화 등으로 기업 어려움이 크다기업의 중복부담 해소와 정보신뢰성 제고를 위한 국가차원의 데이터플랫폼 구축 등 수출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·기업이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.

 

- 분석기간: 2024. 3. 15.() ~ 3. 27.()

- 분석대상: ’22~’23년 실사 수행 국내 공급망 내 협력사 1,278[출처: Click ESG 플랫폼]

- 분석내용: 환경(E), 사회(S), 지배구조(G) 3개부문 66개 항목 ESG수준(E26, S27, G13)

- 실사 방법: 온라인 자가진단, 3자 검증 병행

- 위험도 분류: 고위험(0~2.99), 중위험(3~6.99), 저위험(7~10)


댓글삭제
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.
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?
댓글 0
댓글쓰기
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·계정인증을 통해
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.

  •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800 1125호 (여의도동,여의도파라곤)
  • 대표전화 : 02-780-0990
  • 팩스 : 02-783-2525
  • 청소년보호책임자 : 최운정
  • 법인명 : 종합시사매거진
  • 제호 : 종합시사매거진
  • 등록번호 : 서울,아54884
  • 등록일 : 2023-05-25
  • 발행일 : 2023-05-25
  • 발행인 : 정하연
  • 편집인 : 정하연
  • 종합시사매거진 모든 콘텐츠(영상,기사, 사진)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, 무단 전재와 복사, 배포 등을 금합니다.
  • Copyright © 2025 종합시사매거진. All rights reserved. mail to sisanewszine@naver.com
ND소프트